적용사례/Control Techniques

[ UNI4403 적용사례 ] 인버터 교체시 주의사항 (안전사고 예방), UNI4401, UNI4402, UNI4403, UNI4404, UNI4405 Manual 메뉴얼

썬엘콘트롤 2021. 10. 22. 15:33

UNIDRIVE CLASSIC 모델은 프레임 1~4size까지 있습니다

0.75kW UNI1401에서부터 110kW UNI4405까지 인데요

오늘은 프레임 size4에 해당하는 UNI4403 (75kW 400V)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보시는 사진은 오래전에 구성된 UNI4403 시스템입니다

PANEL의 중판을 커팅해서 인버터의 후면 (방열판)은 판넬의 뒷쪽으로 빠지게 설계되었으며, 전면부는 후면과 공간이 분리되어 Control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판넬 뒷쪽 방열판을 개방해서 냉각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전면 컨트롤부는 밀폐해서 분진이 침투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해당 설비는 UNI4403 6대를 연동제어하는 시스템으로 PID Control을 사용했습니다

PID컨트롤에 관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조금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sunel.tistory.com/7

 

[ PID 컨트롤을 이용한 Dancer 제어 ] Winder (Spooler), Unwinder (Pay Off) 제어에서 사용되는 PID제어 영상

PID 컨트롤을 이용한 Dancer제어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Winder, Unwinder는 섬유, 필름, 철강산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설비입니다 Spooler (권취기), Pay Off (공급대)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런 기계는 다른

sunel.tistory.com

 

UNIDRIVE CLASSIC은 1차측 전원, 2차측 모터, DC Bus단자 모두 한 공간에 모여있지만, 이후의 Unidrive SP부터는 1차측전원부와 2차측 출력부가 상하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안정상 분리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한 공간에 1, 2차측이 모여 있는 것을 보니 위험해 보입니다

실제로 결선을 잘 못해 사고가 발생한 경우도 몇번 있었습니다

인버터 교체시에는 1, 2차측 Power단자와 DC Bus단자의 케이블을 분리해야 하는데 이때는 특히 안전사고에 주의해야합니다

1차측 전원을 차단하고 10분 후  콘덴서의 전압이 완전히 방전된 것을 확인하고 난 뒤에 단자대 작업을 해야 합니다

급한 마음에 DC Bus단자를 만지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드시 전원을 차단한 후 10분이 지난 다음 멀티테스터로 DC Bus의 방전을 확인한 후 단자대 작업을 해야 합니다

잊어서는 안됩니다

Unidrive Classic User Guide.pdf
9.36MB